본문
곡성읍 지명유래
읍내1구 | 영운(英雲)마을 (邑內 1里) 마을 앞에 내(川)가 흐르고 있다하여 여울과 내(川) 를 합해 여울내로 하다 여우내로 불리우게 되었으며 영운리는 이 여우내가 변형하여 표기 된 것이라 함. 1914년에는 행정구역 개편으로 읍내리1구라 칭하고 1962년 읍내리1구에서 읍내리 2구가 분구하여 현재에 이름. |
---|---|
읍내2구 | 영운(英雲)마을 (邑內 2里) 마을앞에 내(川)가 흐르고 있다하여 여울과 내(川) 를 합해 여울내로 하다 여우내로 불리우게 되었으며 영운리는 이 여우내가 변형하여 표기 된 것이라 함. 1962년 읍내리1구에서 분구하여 읍내리 2구로 칭하고 현재에 이름. |
읍내3구 | 동편(東便)마을 (邑內 3里) 고려 창왕때 군의 읍지가 되면서 읍내리로 칭하여 현재까지 이르고 있으며 마을안에 솔밭이 있다 하여 송전(松田) 또는 송정(松亭)이라고도불렀다 함. 객사(客舍)의 동쪽에 있는 마을이라하여 동편 또는 동정 이라고도 불렀다 함. 1962년 행정구역구분 이전까지는 읍내리2구로 되었으나 1962년 현 읍내리4구와 구분 되면서 3구로 칭하고 현재에 이르고 있음. |
읍내4구 | 동편(東便)마을 (邑內 4里) 1389년 고려 창왕때 군의 읍지가 되었다 하며 그때 부터 읍내리로 칭하여 현존에 이르고 있으며 조선말엽에는 마을이 객사(客舍)의 동쪽에 있다하여 동편이라고 불렀다 함. 1962년까지는 읍내2구 였으나 행정구역구분시 읍내4리로 개편됨. |
읍내5구 | 객사(客舍)마을 (邑內 5里) 고려창왕때 군의 읍지가 되면서 관동(館洞)이 읍내리로 칭하여 현재까지 이르고 있으며 조선말엽에는 객사(客舍)가 있었다고 하여 객사라고 불렀다 함. 1962년 행정리 구분 이전까지는 읍내3구로 되었으나 분구후 읍내리 5구로 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음. |
읍내6구 | 서편(西便)마을 (邑內 6里) 고려 창왕때 군의 읍지가 되면서 읍내리로 칭하여 현재까지 이르고 있으며 마을이 객사의 서쪽에 있다하여 서편이라 불렀다함. 1962년 행정 구분 이전까지는 읍내리 4구로 되어 있었으나 1962년 현7구와 분구 되면서 읍내리6구로 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음. |
읍내7구 | 서편(西便)마을 (邑內 7里) 고려 창왕때(1392年)에 군의 읍지가 되면서 읍내리로 칭하여 현재까지 이르고 있으며 마을이 객사의 서쪽에 있다하여 서편이라고 불렀다 함. 1962년 까지는 읍내리 4구로 되어 있었으나 1962년 행정구역 변경으로 현 읍내리 6구와 분구 되면서 읍내리 7구로 칭하고 현재에 이름. |
학정1구 | 학림동(鶴林洞)마을 (鶴亭 1里) 본래 도상면 지역으로 학림동이라 칭하여 왔는데 이는 마을 뒷산 삼인동을 근착지로 연유 된 것으로 숲이 우거지고 신선이 노는 곳 이라는데서 유래 되었다 하며 여기서 학(鶴)은 신선을 상징 하고 림(林)은 신선 이살고 있는 곳을 뜻하였다 하며 현재의 학정리는 1914년 행정구역 변경으로 학림동과 율정리(栗亭里, 학정리2구)를 폐합 개칭한 것임. |
학정2구 | 율정(栗亭)마을 (鶴亭 2里) 본래 도상면 지역으로서 밤나무숲이 마을 앞과 뒤에 있어 밤나무가 많다 하여 밤정(栗亭)이라 불러오다 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학정동과 통합하여 학정리라 칭하고 현재에 이름. |
교촌리 | 교촌 마을 (校村里) 향교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향교골(생교골) 또는 교촌리 라 칭함, 마을과 마을뒤에 대나무밭 언덕이 있다하여 죽안(竹岸)으로 부르는 마을로 나누어 지며 1914년 행정구역 변경으로 이 두 마을을 병합 교촌리라 칭하고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향교가 있는 마을을 학정리와 죽동리 사이에 있다 하여 샛골 이라고도 불렀다 함. |
죽동리 | 방죽굴(防竹굴) 마을 (竹洞里) 본래 도상면에 속한 지역으로서 방죽이 있는 마을이라 하여 방죽골에서 방죽동으로 불리우다가 1914년 행정구역 변경으로 죽동리라 칭라고 곡성읍에 편입 현재에 이름. |
신월리 | 신흥(新興) 마을 (新月里) 100여년전 서씨(徐氏)가 새로이 터를 닦았다 하여 신흥리(新興里)라 칭한 마을과 마을 지형이 달 모양으로 생기고 앞에는 들(坪)이 있다 하여 월평(月坪)이라 칭한 마을로 구분되는데 본래는 도상면(道上面)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변경에 의거 신흥리와 월평리을 통합 신월리(新月里)로 칭하고 곡성읍에 편입 하였으나 97.1.31일 행정구역 변경으로 신월리와 월평리로 분리하여 현재에 이름 편입 현재에 이름. |
월평리 | 월평(月坪) 마을 (月坪里) 100여년전 서씨(徐氏가 새로이 터를 닦았다 하여 신흥리(新興里)라 칭한 마을과 마을 地形이 달 모양으로 생기고 앞에는 들(坪)이 있다 하여 월평(月坪)이라 칭한 마을로 구분되는데 본래는 도상면(道上面)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변경에 의거 신흥리와 월평리을 통합 신월리로 칭하고 곡성읍에 편입 하였으나 97.1.31일 행정구역 변경으로 신월리와 월평리로 분리하여 현재에 이름. |
월봉리 | 신평(新坪) 마을 (月峰里) 본 마을은 신평부락과 저전부락으로 구분 되는데 신평은 마을 앞 들이 새로이 개간되어 붙여진 이름이라하고 저전(楮田)은 마을에 닥나무(楮) 밭과 여울(川)이 있어 딱밭물 또는 저전리(楮田里)라 하였다 하며 본래 도상면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변경으로 신평리와 저전리 및 오곡면 묘천리 일부를 통합하고 월봉리로 개편 현재에 이르고 있음. |
구원1구 | 가운데동막(구 中) 마을 (舊院1里) 본래 도상면 지역으로서 자애원(慈悲院)이 있었다 하여 구원터 또는 구원촌이라 하고 웃동막과 아랫동막 사이에 있는 동막(東幕)이라하여 가운데 동막 중(中)터라고도 하는데 맹골 동산 앞몰로 불리우는 세 촌락으로 형성 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변경시 구원리로 칭하고 현재에 이르고 있음. 여기서 동막이라 함은 마을 서편의 형제봉에서 유래된것으로 산이 동쪽을 향하여 장막을 쳐 놓은 듯한 형국이라 하여 생긴말이다. 한편으로는 지형이 형제장군이 군막을 치고 동쪽을 바라보고 있는 형국이라 하여 유래 되었다고 전해지고 있음. |
구원2구 | 아랫동막 마을 (舊院2里) 읍과 가까이 아랫쪽에 위치하고 있는 동막(東幕)이라 하여 아랫동막으로 불리어 왔으며 평지에 있다하여 평지벌 큰마을과 사이가 떨어져 있다하여 샛떰. 방천(防川) 밑에 위치하고 있다하여 방천굴 이라 칭한 세 촌락으로 구성 되었으며 1914년에 행정구역 변경에 의거 구원리로 개칭하고 현재에 이름. |
서계리 | 웃동막 마을 (西溪里) 읍에서 제일 위에 위치한 동막(東幕)이라 하여 웃동막(上東幕) 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변경시 서쪽에서 흘러 나오는 내(川)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서계리(西溪里)로 칭하고 현재에 이르고 있음. |
대평1구 | 그심예 마을 (大坪1里) 본래 예산면 지역으로서 큰 마을이라 하여 대리(大里) 라고 하였으며 「그심예」또는 「그메」라고도 하였다 하는데 이는 예산면의 예자인 끄을예 에서 비롯 되었다고 하고 현재의 대평리는 1914년 행정구역 변경에 의거 대리(大里) 와 마평리(馬坪里, 대평리3구)를 합하여 칭하게 된것이라 함. |
대평2구 | 그심예 마을 (大坪2里) 본래 예산면 지역으로서 큰 마을이라 하여 대리(大里)라고 하였으며「그심예」또는「그메」라고도 하였다 하는데 이는 예산면의 예자훈인 끄을예 에서 비롯되었다 함. 그후 1914년 행정구역 변경에 의거 대리(大里) 와 마평리(馬坪里, 대평리3구)를 합하여 대평리라 칭하고 현재에 이름. |
대평3구 | 마평(馬坪) 마을 (大坪3里) 마을이 광활한 평야중심 지대에 형성되었으며 지형이 말 형국으로 되었다 하여 마평리(馬坪里)라 칭하였다 하며 그후 1914년 행정구역변경에 의거 현 대평1·2구의 대리(大里)와 마평(馬坪)을 합하여 대평(大坪)이라 칭하고 현재에 이름. |
신리 | 새몰 마을 (新里) 본래 예산면에 속한 마을로 새로이 생긴 마을이라 하여 새몰 또는 신리(新里) 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변경시 신리(新里)로 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음. |
동산리 | 동산쟁이 마을 (東山里) 마을뒤 산이 동쪽을 향하고 있다 하여 동산리(東山里)라고 하였으며 동산정(東山亭)이 있어 동산정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1914년에 전북 금지면에 속해 있던 것을 곡성면으로 편입 현재에 이르고 있음. |
장선1구 | 장선 마을 (長善 1里) 마을이 섬진강변에 접하여 강이 마을 북쪽으로 길게 흐르고 있어 마을이 좋아진다는 뜻으로 長善이라 하였다 하며 본래는 예산면에 속해오다가 1914년 행정구역 변경으로 곡성읍에 편입되고 1962년에 행정구역 변경으로 현 장선 2구와 분리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음. |
장선2구 | 장선 마을 (長善 2里) 마을이 섬진강변에 접하여 강이 마을 북쪽으로 길게 흐르고 있어 마을이 좋아진다는 뜻으로 長善이라 하였으며 1914년에 전북 남원군 금지면 석전리 일부를 편입하였고 1962년에는 행정구역 변경으로 장성리 1구와 분구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음. |
신기1구 | 나룻물 마을 (新基 1里) 강이 있어 나룻배를 이용한 나룻터가 있는 곳이라 하여 진촌(津村) 또는 나룻물 이라고 하였으며 임진왜란때 싸움터였다 하여 진(陣)터라고도 불리웠는데 1914년 입면(立面)의 곡촌(谷村) 일부와 전북 남원군 금안면(金岸面) 석전리(石田里) 일부를 병합 새로 잡은터 라 하여 신기리(新基里)라 칭하고 현재에 이름. |
신기2구 | 새터 마을 (新基 2里) 본래 예산면 지역으로서 마을이 형성되면서 새로 잡은 터라 하여 새터라 불러오다가 1914년 행정구역 변경시 곡성읍에 편입하여 신기리라 칭하고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1962년에 신기리 3구와 분구 하였다. |
신기3구 | 새터 마을 (新基 3里) 본래 전북 금지면으로서 마을이 형성되면서 새로 잡은 터라 하여 새터라 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변경시 곡성읍에 편입하여 신기리로 칭하고 1962년에는 신기리 2구와 분구하여 현재에 이름. |
묘천1구 | 괘내 마을 (描川 1里)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지형이 고양이 혈(描穴)이라 하여 괘자를 쓰고 여기에 마을앞 내(川)가 있다하여 천(川)자를 합하여 묘천(猫川)이라 하였으며 묘천의 한자풀이 음을 따 괴내라고도 불리워지고 있는데 덕동,물래뜸, 참새굴, 안뜸등 촌락으로 구성되었고 1914년에 행정구역 변경으로 당시의 도상면 신흥리 일부를 편입하여 오곡면에 속해 있다가 1973년 곡성면에 편입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음. |
묘천2구 | 댕밑 마을 (描川 2里) 풍수지리설에 의거 마을의 지형이 고양이 혈(描穴)이라하여 괘자를 쓰고 여기에 마을앞에 내(川)가 있다 하여 천(川)자를 합해 묘천(猫川)이라 하였으며 신을 모시는 당집이 있고 마을이 당집 밑에 위치하고 있다 하여 댕밑 또는 당대리(堂代里)라고 불렀다 하는데 또한 이곳을 용정(龍井)이라고도 부르고 있고 1973년까지 오곡면에 속해 있다가 행정구역 변경으로 곡성읍에 편입하여 현재에 이름. |
콘텐츠관리
- 담당부서 재무과
- 담당자 김길순
- 연락처 061-360-2812
- 최종수정일 2019-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