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날씨

맑음

6월 17일

31.0℃

미세 보통

초미세 보통

곡성
소통

  • 페이스북
  • 유튜브
  • 블로그
  • 인스타그램

일반현황

  • HOME
  • 읍·면
  • 곡성읍
  • 일반현황
본문

입면 지명유래

월평마을, 매평마을, 매산마을, 흑석마을, 상대마을, 하대마을, 약내마을, 대곡마을, 운치마을, 상금마을, 내금마을, 외금마을, 택촌마을, 서봉마을, 탑동마을, 곡촌마을, 평촌마을, 군촌마을, 가마동마을, 창정마을, 노동마을, 하립마을, 상립마을, 궁동마을, 삼응마을, 연지마을, 송전마을, 기동마을, 내동마을, 종방마을 지명유래
월평마을 매월1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월평""월곡""월명동"과 "매산""탑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월평"과 "매산"의 이름을 따서 "매산리"라 하였고 1구인 월평은 앞산과 뒷산이 반월을 구성하여 달의 첫자를 따서 "월"을 붙이고 평야지인 마을을 "월평", 골짜기에 위치한 마을을 "월곡", 서쪽에 있는 마을을 "월명"으로 부르고 있는데 통상 매월1구를 "월평"으로 불러 현재에 이르고 있음.
매평마을 매월2리
옹기점이 있어 점촌으로 부리웠으며, 매화 낙지터의 명당이 있다 하여 "매"자의 첫자와 평야에 위치하고 있어 매월2구를 "매평"이라 불러 현재에 이르고 있음.
매산마을 매월3리
매화 낙지로서 "매"의 첫 자를 따고 북쪽에 산이 많아 매월3구를 "매산"으로 부르며, 현재에 이르고 있음.
흑석마을 흑석리
본래 옥과군 입평면의 지역으로서 검은 돌이 있으므로 "검은들" 또는 "흑석, 금평"이라 하였는데 1908년에 창평군 입면이 되었다가 금평이 검은들로 변하고,"검은들"이 "검은돌"로 오인되어 "흑석"으로 되고, "상흑리, 하흑리, 노림리"를 합하여 1914년에 흑석리에 개칭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음.
상대마을 대장1리
본래 옥과군 입평면의 지역인데 1908년에 창평군 입면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대리"와 "장동" "약천"의 이름 일부를 병합하여 대리와 장동의 첫 글짜를 따서 대장리 하고 1구를 통상 대장리 윗마을에 위치하므로 "상대" 또는 "베점"이 "대점"으로 바뀌어 현재에 이르고 있음.
하대마을 대장2리
대장리 1구와 같이 "대리"와 "장동"의 첫 글자를 따 대장리라 하고 2구를 통상 대장리 아래에 위치하므로 "하대, 대판이" 등으로 불러 현재에 이르고 있음.
약내마을 약천리
원래 양내(돌안)라 불리웠으나 동명이 나빠서 고쳐보자고 하여 동락산이 부락의 주산이 되었으므로 명산의 생수가 신선하여 "약수"라 "약천"이라 하였고, 1908년에 창평군 입면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장동 일부를 병합하여 약천리라 하여 곡성군 입면에 편입, 현재에 이르고 있음.
대곡마을 만수1리
옥과군 입평면의 지역으로서 물이 좋으므로 "만수동" 또는 "만수" "대굴"이라 하였다는데 (만민의 피난처여서 만수라 했다는 설도 있음) 1908년에 창평군 입면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의 폐합에 다라 "운치, 노림, 매산, 상흑"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만수리라 하여 곡성군 입면에 편입되었으며, 만수리 중 윗쪽에 위치하고 있어 "상만, 대굴"등으로 불리어 현재에 이르고 있음.
운치마을 만수2리
풍수설에 의한 지형이 "운중발용(雲中發龍)"이라 하여 洞명을 "운치"라고 칭해왔는데 언제부터인가 "언재, 운치, 운재"로 불리우다가 부르기 쉽게 "언재"로 현재까지 불리우며, 1914년 만수동과 합하여 만수리로 개칭되어 현재에 이르며, 통상 만수2구를 "하만, 운치, 언재"등으로 부르고 있음.
상금마을 금산1리
1908년에 창평군 입면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다라 "내금, 외금, 상금, 택촌"과 "만수동, 운봉, 탑동, 마산"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금산리"라 하여 입면에 편입되었는데 원래 금산으로 불리다 동락산의 "락"과 맞추기 위해서 또는 마을 뒷산이 거문고처럼 생겼으므로 "금산"이라고 했다는 설과 함께 6대 면장인 정운학씨가 "금산"으로 바꾸어 제일 위쪽에 위치하고 있어 "상금, 상짐산이"로 불리고 있음.
내금마을 금산2리
금산리에서 안쪽에 위치하고 있어 "내금, 안짐산이"로 불리어 현재에 이르고 있음.
외금마을 금산3리
금산리에서 마을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외금, 외짐산이"로 부리고 있음.
택촌마을 금산4리
장소를 가려서 마을을 형성했다고 하여 "택촌"이라고 불리고 있음.(논어의 이인편 의미 모방) "澤村, 宅村"의 한문은 맞지 않고 "택말"이라고도 불리웠음.
서봉마을 서봉1리
창평군 입면의 지역으로서 서봉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탑동""가마"노동"의 이름 일부와 전북 남원군 방산리 일부를 병합하여 서봉리라 하여 곡성군 입면에 편입되었는데 서봉리란 명칭은 마을 뒤에 죽림이 무성하므로 봉이 서식하는 곳이라 하여 동명이 서봉리로 불리운다는 설과 본 면 2대 면장 신봉식씨가 본 부락으로 입주하여 부락 이름을 바꾸어야 하겠다는 생각에서 길들일 서(棲)를 써 봉을 길들은다 해서 서봉으로 개칭(본인을 서봉리에 적응시키기 위함) 1955년 1.2구로 분구되어 현재에 이름.
탑동마을 서봉2리
서봉리로 1구와 같으며 1955년 1.2구로 분구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으나 절터에 남아있는 탑이 있어 동명을 "탑동"이라고도 하며, 죽순을 먹고 큰다고 하여 "봉죽"이라고도 불럿으나, 현재는 1,2구를 함께 서봉으로 많이 부르고 있으며 현재에 이름.
곡촌마을 제월1리
본래 옥과군 입평면의 지역인데 1908년에 창평면 입면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군촌"과 곡촌" 하천 탑동의 명 마을과 전북 남원군 소견곡면의 신기리 일부를 병합하여 지형이 섬진강(도산천)이 달처럼 둘러싸고 흐르므로 "제월리"라 하여 곡성군 입면에 편입되었는데 군촌 동북쪽 골짜기에 있는 제월1구를 곡촌으로 불러 현재에 이르고 있는데, "골말"이라고 불리웠다고 전함.
평촌마을 제월2리
제월1구와 같으며, 제월리 중 군촌 동북쪽에 있는 마을로, 앞 들이 평편하여 제월2구를 "평촌"이라 불리어 현재에 이르고 있음.
군촌마을 제월3리
군촌(군지촌)은 1520년대에 심광정이 자손만대에 영세거주지 새 터를 잡고 "군지촌"이라 촌명을 정하고 자기 서제를 "군지촌정"이라 하였다. 이 마을을 군지라고 한 이유는 고대 순임금이 정한 12주중의 하나를 분주(分州)한 적이 있는데 자기가 낙향함을 순임금의 분주에 비하여 자손이 번영을 이어가라고 군지촌이라 정한 것이 1914년 가운데 "지"자를 빼고 "군촌"이라 불러 현재에 이름.
가마동마을 창정1리
옥과군 입평면의 지역으로서 창정이라 하였는데 융희 2년(1908)에 창평군 입면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가마""노동"의 이름 일부를 병합하여 "창정리"라 하고 곡성군 입면에 편입됐는데 통상 창정리 1구를 가마솥 모양으로 창정리 서북쪽에 위치하고 있어 가마 '부'자를 따서 "부동"으로 불리다 "가마동"으로 불리워 현재에 이르고 있음.
창정마을 창정2리
1955년 1월 분구되어 창정리 2구로 됐으나 통상 창정으로 부르고 있다.
노동마을 창정3리
창정 동북쪽에 있는 마을로 창정리 3구 "노동"(창자)로 불리었으나 현재 3구도 "창정"으로 많이 부르고 있다. 1955년 1월 분구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음.
하립마을 입석1리
옥과군 입평면 지역으로서 선돌이 있으므로 "선돌" 또는 "입석"이라 하였는데 융희 2년 1908년 창평군 입면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월산리를 병합하여 "입석리"라 하고 곡성군 입면에 편입됨. 한편 입석리 1구를 임석 아래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하립"'아래선돌"로 불리어 현재에 이름.
상립마을 입석2리
옥과군 입평면의 지역으로서 선돌이 있으므로 "선돌" "입석"이라 하였는데 입석2구가 1구의 위에 있는 마을이므로 "상립" "웃선돌"로 불리어 현재에 이르고 있음.
궁동마을 삼오1리
옥과군 입평면의 지역인데 융희 2년(1908) 창평군 입면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오리동" "연지""삼응"을 병합하여 "삼응"과 "오리"의 이름을 따서 "삼오리"라 하여 곡성군 입면에 편입되었는데 삼오 1구는 단종 계유년 사육신의 화로 중조 한림공이 사육신과 한날 순절했고 형제 숙질이 함께 죄를 입어 그 여파로 옥과 설산으로 쫓겨와 월명산 아래 오리동에 한 암자를 지어 경학을 힘쓰며 세상사를 뜬구름같이 보고 부귀를 초개같이 여기시어 호 "퇴락"을 "월오헌"이라 했다. 그때부터 마을 이름을 "오리동"이라 했다가 그후 언제부터인지 "궁동" "오록굴" 등으로 현재까지 불리움.
삼응마을 삼오2리
삼오리 1구와 같고 "동" "삼오" "연지촌"과 3개 부락이 조화를 이루어야 된다고 하여 삼오리 2구를 "삼응리"라 불러 현재에 이름.
연지마을 삼오3리
삼응 서북쪽에 있는 부락으로 삼오2구에 속해 있다가 1983년 분구되었으며 인근에 "쌍방죽(연방죽)"이 있는데 연꽃이 많이 피어 연꽃의 못을 본떠서 "연지리"라 하며, 통상 삼오 3구를 "연촌" "연지촌"으로 불러 현재에 이름.
송전마을 송전1리
옥과군 수대곡면의 지역으로서 소나무밭이었으므로 "솔밭" 또는 "송전"(풍수설에 송학하전형국)이라 불리우고 있는데 융희 2년(1908)에 창평군 입면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송전리" 기동" "내동" "합강리"의 이름 일부와 입면 노동 일부를 병합하여 "송전리"로 개칭, 옥과군에 속하였다가 1983년 2월 행정구역 개편으로 송전 1.2.3.4구 4개 마을 모두가 입면에 편입되었으며, 통상 송전1구를 "송전"으로 부르고 있음.
기동마을 송전2리
샛터골에 터를 잡아서 "신기동"이라 부르다가 "기동"으로 불리어 현재에 이르고 있는데 마을 앞 골짜기를 지금도 샛터골이라 부르고 있음.
내동마을 송전3리
송전리 중에서 내부에 있는 안마을이라 "내동"이라 칭하고 현재에 이르고 있는데 송전리 서북쪽에 위치함. (옛날에는 안골이라고도 불리웠음)
종방마을 송전4리
지형이 배와 같고 배가 입,출항 당시 종이 울린다는 뜻으로 "종방"이라 명명하였으며, 일제 말기 옥과군 송전리로 되었다가 1983년 2월 행정구역 변경으로 입면 송전리로 편입, 송전4구를 "종방"으로 불러 현재에 이르고 있음.

콘텐츠관리

  • 담당부서 재무과
  • 담당자 김길순
  • 연락처 061-360-2812
  • 최종수정일 2019-08-22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추천곡성
섬진강
기차마을
곡성
교육포털
기차마을
장터
곡성
귀농귀촌